안녕하세요

여러분의 1인미디어를 응원하는

필이 입니다.

 

오늘은

새로운 영상편집 프로그램을

소개드리려고 합니다.

이미지 영상제작하면 생각나는 회사

어도비 Adobe 에 새로운 프로그램입니다.

이미 프로미어 프로와 에프터 이펙트라는

영상제작에서 아주 강력한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습니다만

그 두개를 한 프로그램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개발하였습니다.

딱히 제가 고료를 받는다거나하지않았고

저도 아직 개발중인 이 프로그램의 시험사용자

신청만 해놓은 상태입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프리미어 프로와 에프터 이펙트를

단순히 합쳤을 때 발생하는 장점과 단점을 이야기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장먼저 장점을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장 큰 장점은 프로젝트 통합입니다.

이 한 프로젝트에서 편집부터 모션그래픽, 후작업까지

한다는 것은 생각보다 크게 작용합니다.

기본적으로 프리미어에서 편집을 완료하고

시각효과를 넣기 위해서는 인코딩을 하고

영상을 에프터 이펙트로 보내야 합니다.

그럼 바로 인코딩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릴겁니다.

10분에서 20분정도 영상을 만든다 해도 컴퓨터 성능에따라다르지만

최소 15 ~ 30분 정도 걸립니다.

게다가 자꾸 인코딩을 하게되면

필름이 열화가 되서 화질이 나빠지듯이

영상의 생명인 화질이 조금씩 나빠집니다.

물론 한 두번 한다고 우리 눈에 띌만큼 나빠지지는 않지만

그래도 화질이 나쁘면 바로 나가는 요즘 트렌드상

웃으면 반겨야할 상황은 아닙니다.

 

 

그리고 다음으로 시간을 아낄수 있다는 겁니다.

인코딩 시간 뿐만아니라 어도비 프러그램들 자체가 무겁기 때문에

실행하는데 시간이 소요되고

여러 프로그램을  한번에 돌리면 컴퓨터가 지쳐서

블루스크린이 나오거나 멈추는 경우가 있습니다.

한 프로그램으로도 모든 기능이 있으면

굳이 끄고 켜고 할 필요가 없으니 업무 효율성이 많이 올라갈듯 합니다.

이제부터 단점이 입니다.

기본적으로 어도비에 고질적인 문제점인

무거움입니다. 어도비 기업특성상

크고작은 미디어제작프로그램을 만드는 기업을 인수합병 등을 통해서

성장한 공룡이기때문에 어울리는거는 기능에 넣고

다른건 새로운 프로그램으로 런칭해왔습니다.

 

 

프리미어와 에프터이펙트는 그런의미에서

비슷하지만 확실히 다른 기능때문에 다른 프로그램으로 존재하고 있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합쳤을 때는 어떤 기능이 약해지거나 하지 않을까 걱정인 부분이 있습니다.

물론 모든 기능을 살린다고 하면 무거운 두 프로그램이 합쳐졌으니

기존에 가지고 있던 갑작스러운 프로그램 정지를

피할 수는 없을 듯합니다.

 

 

물론 어도비 사용자라면 종종 있는 이라 넘어갈수 는 있겟지만

자주 그런다면?

소비자들에게 외면 받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앞섭니다.

 

 

물론 어도비 같은 공룡 기업이

이러한 기본적인 문제점을 어떻게 해결할지가 관권입니다.

현재는 아직 시험 사용자를 모으고 있는 상황입니다.

티저페이지에서 지금도 신청이 가능하다고 하니

참여해보시기 바랍니다.

저도 시험사용자가 된다면 리뷰를 한번더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여러분의 1인 미디어를

응원하는 필이 입니다.

 

오늘은 캡쳐보드를 이용해서

XSplit 캡쳐를 했는데

캡쳐되는 화면이 일부분만 캡쳐되는 경

대처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일부분만 캡쳐 되고 있는 화면

제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캡쳐보드는

외장 캡쳐보드인

스카이디지탈 슈퍼캐스트 U6T 2HD HDMI

이라는 제품입니다.

정말 할많하않한 성능을 자랑합니다.

성능이 컴퓨터 환경에 따라 정말 예민하게 굽니다.

제가 OBS에서 XSplit으로 옮기게 된

절대적인 이유 중에 하나입니다.

 

 

나중에 리뷰를 할지 모르겠네요

아마 많이 시달리는 분들이 있어서

나중에라도 해결법 관련해서

몇 자 적긴 해야할듯 합니다.

 

어쨌든 XSplit 사용자 시라면

캡쳐보드가 달라도 종종

처음에 캡쳐 화면을 띄우면

일부만 잡는 경우에 도움되는 글 일겁니다.

일단 스크린을 우클릭 하시거나

레이어를 우클릭 하시면 설정 창이 뜹니다.

가장 먼저 카메라 탭이 첫번째로 보이실 거에요

거기서 밑으로 내려가시면

환경설정이 있는데 이걸 클릭해줍니다.

그럼 비디오 출력과 입력이 있는데

우리는 비디오 출력을 클릭합니다. 

그럼 이제 속성창이 뜨는데

아래 쪽에 출력크기가 있습니다.

기본 설정이 320x240으로

보통 요즘 디스플레이 장비 해상도는

1920x1080 즉 1080p 해상도입니다.

입력은 1080p 인데 기본설정이 작으니

일부만 캡쳐되어 보이는 겁니다.

 

 

우리는 이걸 1080p로 늘려서

화면이 모두 보이게끔 해줍니다.

위쪽에 프레임 속도도 있으니

60프레임으로 올리셔도 무관합니다.

설정이 끝났다면 확인을 눌러줍니다.

전체화면이 보이지만

저의 스마트폰이 노트8이라 그런지

검은색 프레임이 두껍게 있어서

1080p 보다는 작은 화면 입니다.

하지만 검은색 프레임이 있어서

이 이상 늘릴수 가 없습니다.

이때는 다른 설정도 만져주셔야 합니다.

다시 레이어를 우클릭해주시거나

화면을 우클릭해줍시다.

그리고 레이아웃 탭을 눌러서 이동해 줍니다.

그리고 맨밑으로 내려가면

자동으로 크로핑있습니다.

이걸 클릭해주세요.

화면에 흰색 테두리를 비교해보시면

흰색 테두리가 검은프레임 없이

캡쳐화면에 딱 붙어있는게 보이실 겁니다.

이제 화면을 크게 잡아주시면

캡쳐화면 세팅이 끝이 납니다.

아까 전보다 화면이 커진게

느껴지시죠?

여기까지 하셨다면 캡쳐화면 설정은 끝이납니다.

 

 

Tip 캡쳐 오디오가 안들리는 경우

화면이나 레이어를 우클릭 해주시고

카메라탭에서 오디오입력이

내 장으로 기본설정이 되어 있을겁니다.

소리가 그냥 잘 들린다면 안바꾸셔도 됩니다만

캡쳐보드 오디오를 골라서 선택하는걸

추천 드립니다.

바꿨는데도 소리가 계속 안나온다면

혹시 스마트폰이나 기타장비에 기본 소리가 켜져있는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필이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여러분의 1인 미디어를

응원하는 필이 입니다.

 

오늘은 간단하게

XSplit Broadcaster UI들의

언어 변경 하는 법에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먼저 XSplit Broadcaster를

설치하게되면 한국어로 선택하여

프로그램을 설치하더라도

이상하게 영어로된 UI가 나옵니다.

어쨌든 한국기업도 아니니까 어쩔수 없죠^^

바로 바꿔보도록 합시다.

바로 보시면 아시겠지만 전부다 영어네요

왼쪽 상단 화면에서 Tools를 선택해줍니다.

 

 

대부분의 프로그램에 설정이 있는 곳은

Tools, options, settings 정도입니다

게임 화면도 마찬가지지만요.

Tools에서 바로 밑으로 내려가서

Change language를 갔다 대면

체크가 English로 되어 있을겁니다.

이걸 한국어로 클릭해주세요.

이렇게 체크가 한국어 옆에 있으면 잘된겁니다.

다른 언어로 바꾸고 싶으시다면

위에 여러 언어가 번역이 되니까

사용하고자 하는 언어를 고르시면 됩니다.

한국어 번역이 덜 된건지

아니면 일부러 저렇게 남겨져 있는 옵션들이

종종 있습니다.

오류가 아니니까 무시하셔도 됩니다.

 

오늘은 간단하게 XSplit Broadcaster

한국어로 언어 변경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에는 보다 도움이 되는 이야기로

돌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필이였습니다.

 

엑스스플릿 영상 저장 위치 바꾸기

 

 

 

안녕하세요

여러분의 1인 미디어를

응원 하는 필이 입니다.

 

제가 OBS에서 XSplit으로 프로그램을

바꾸면서 다시 시행착오를 겪었습니다.

그냥 OBS 쭉 할까 하다가 그래도 XSplit이

캡쳐보드 잡는 부분에서 좀 더 안정적인 면이 있어서

바꾸게 되었습니다.

 

 

그러다 제일 찾기 힘들었던게

레코딩 저장 위치 바꾸는 곳을 찾는 것이었습니다.

처음에는 한국어로 설치를 안해서

영어로 찾느라 더 힘들었습니다.

바로 저장위치 찾아보도록 하죠

XSplit Broadcaster 초기 화면 입니다.

게임캐스터도 나중에 올려야 겠죠?

캡쳐 잡기가 힘듭니다 ㄷㄷㄷ

 

 

초기화면에서 도구창으로 들어가줍니다.

언어 변경을 했는데도

영어를 굳이 고수하는 몇개의 칸이 있습니다

그중에 Recordings가 있습니다.

이게 녹화 영상 저장위치 지정하는 칸입니다.

클릭해주세요.

그럼 이제 흔한 파일 검색기 화면이 나옵니다.

해당화면에서 아래에서 ... 버튼이 있습니다.

이걸 눌러주세요.

 

저는 보통 C드라이브에는 어떠한 것도

저장하지 않습니다. 살짝 팁입니다만

 

 

C드라이브 남은 용량은

컴퓨터 속도를 체감할 만큼

모자르면 모자를수록 엄청나게 느려집니다.

빨간색이 뜨면 컴퓨터는 엄청느려집니다.

이렇게 바꿔주었습니다.

사실 Recordings만 찾으면

금방 바꿀 수 있습니다.

 

 

자 오늘은 간단하게 XSplit Broadcaster

저장위치 바꾸기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여러분의 1인 미디어를

응원하는 필이입니다.

 

오늘은

유튜브에서 인기트렌드를

검색해보기 위해서

초기화하는 기능을 알아보겠습니다.

 

유튜브 영상은 아시다시피

나의 시청기록, 검색기록 등을

인공지능 프로그램이 추천해주는

영상이 나오게됩니다.

그러다보면 내가 보는 영상만 보게됩니다.

 

트렌드를 조사하거나

알고싶으면 먼저 나의 취향을

조사하는 인공지능의 눈을 잠깐 피해보고자 합니다.

 

먼저 유튜브에 들어가서

왼쪽에 상태바를 보시면

주르륵 메뉴들이 있지요

거기서 우리는 최근 본 동영상을 클릭합니다.

사실 평소에 몇 편 안본다면

우측에 X로 하나하나 지우셔도 됩니다.

 

 

물론 한꺼번에 지우는 것도 있습니다.

수백 편이라면 일일이 지우다

포기 하기 쉽겠죠?

이제부턴 모두 지우는 방법으로 가보죠

우측을 더 가보시면

기록유형이 있고 그 아래

시청기록, 검색기록 등이 있습니다.

우리가 초기화 할건

시청기록과 검색기록 뿐입니다.

 

 

최근 본 영상으로 잘들어오셨다면

시청기록이 먼저 보이실거에요

거기서 우측 더 밑으로 내려가신다면

기청기록 지우기가 있습니다.

그럼 모든 기록이 지워집니다.

 

 

그리고 바로 밑에 시청기록 일시정지가 있는데

그건 제 기분 탓인지 모르겠는데

제가 자주보는 영상들이 알아서

추천되는 경향이 약하기는 한데

남아있다는 느낌이 강합니다.

그러니 기록을 남기시다가 

지우는 편이 더 좋아 보입니다.

 

그리고 시청기록을

모두 지우셨다면 검색기록도 지워줍니다.

시청기록 지우는 법과 같습니다.

검색기록도 역시 일시정지가 있지만

역시 비추입니다.

초기화 방법은 끝났습니다.

그리고 혹시 한국 트렌드가 아닌

외국 트렌드를 알고자 하신다면?

자신의 플로필 사진을 클릭하시어

프로필을 여시고 아래쪽으로 보시면

장소가 있는데 그걸 한국이 아닌

다른 나라로 지정해주시면

끝입니다.

 

 

자 오늘은 유튜브 기록 초기화하는 법을

알아보았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감사합니다.

필이였습니다.

 

 

안녕하세요

1인 미디어를 응원하는

필이입니다.

 

편집 능력이 없는데 유튜브를 하고싶어요

어떻게 해야할까요?

기본적으로 직접 배우고 직접 편집해보는게 좋지만

당장 영상을 만들기위한

컨텐츠 기획 및 컨셉트가 이미 잡혔다면

전문 편집자에게

맡기기로 했다면 무엇이 필요할까요?

 

 

 

맞습니다. 영상제안서입니다.

물론 일을 맡기는 편집자가 나의 기획및 영상의도를

잘알아주는 사람이라면 모를까

내 영상을 가장 잘 아는 사람은 본인이란걸 잊지마세요.

( 글 하단에 영상제안서를 첨부했습니다 )

나만의 꿀쨈 순간이나

회심의 드립이 그냥 잘려나가고

완성되고나서

들여다보면 돌이킬 수 없어집니다.

 

 

그래서 영상제안서에는

자신의 기획, 영상의도, 컨셉트 가

기본적으로 들어가야합니다.

그리고 시놉시스라는 씬마다

나의 주문이 들어가야 합니다.

 

특히 시놉시스에서 주문이 불명확하면

편집자는 돈 받은만큼만 일해주거나

나중에 추가로 무언가를 요청을 할 때

추가요금을 받는 경우가 생깁니다.

 

나의 영상이 어떤 방식으로 편집되었으면 하고

어떤 효과가 들어갔으면 하는지 자세히 적어야

초기에 합의한 견적 비용 내에서 영상제작이

이루어질 수 있고 가격대에 맞춰서

효과를 빼거나 추가할 수 있게됩니다.

 

 

전문용어를 사용할 필요없이 영상이 어떻게

움직여 주었으면 좋겠는지 의성어 의태어를 제외하고

자세히 쓴다면 문제없이 의사소통이 가능합니다.

 

 

 

좋은 예: 좌에서 우로 벚꽃 잎이 처음에는 화면을 가릴정도로

많이 내리다가 차츰 벚꽃 잎이 사라지면 다음 화면이 나오게 해주세요.

 

나쁜 예: 벚꽃 잎이 촤르륵 화악 내리게 해주시고 화면이 바뀔 때는

벚꽃이 없어지게 해주세요. 

 

 

 

누가 봐도 어떤 주문이 상세히 그림이 그려지는 알겁니다.

전문 용어 없이도 충분히 주문이 가능하기 때문에

의사소통에 겁먹지 마시고 최대한 어떻게 표현하고 싶은지

자세히 써주시는게 좋습니다.

가격이 비싸다면 무엇을 빼야할지도

자세히 기록해두면 빼기도 편합니다.

 

 

영상편집은 우리가 엑셀을 만지고

워드를 치는 것보다 쉬운 프로그램도 많습니다.

게다가 무료인 것도 많고요.

 

파워 다이렉터: 무료이지만 워터마크가 찍힌 영상이 나옵니다.

그래서 되도록이면

직접 편집을 하시다가 어느정도 유튜브나 다른 플랫폼에서

수익이나면 그때 편집자를 구하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하지만 무작정 내가 어느정도에 궤도에 오를 때까지

영상의 질을 따지지 않는다고 하면

궤도에 오르는게 힘들 수 있습니다.

 

 

단 몇 개라고 퀄리티 있는 영상을 만들어두고

그 영상을 통해서 유입이 있고 구독자가 생긴다면

그 이후 영상의 질이 아닌 컨텐츠로 승부를 봐야합니다.

 

 영상제안서양식(약식).pdf

 

오늘은 영상제안서를 만들기에 관해서

글을 올렸습니다.

사실 영상 제작을 맡기지 않는게 아니라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 분들께 도움이 되는 글이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필이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여러분의 1인 미디어를

항상 응원하는 필이 입니다.

 

영상 제작 및 생방송 하실 때

가장 고민되는게 뭘까요?

 

맞습니다. 저작권 없는 브금이죠

그렇다고 무작정 쓰면 저작권 경고 때문에

일부에서는 올려도 보이지 않거나

일부 국가에서 금지되거나

일부만 사용하는 경우

사용된 일부가 음소거 처리 되기도 하기때문에

 

온전한 나의 창작물이 다른 뷰어들에게

전달이 되었으면 하는게

창작자의 마음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준비한 것이 아래 10개의 브금들입니다.

주관적으로 뽑은거라서 마음에 드시지 않는다면

저의 다른 저작권 브금 소개 사이트를 모아 놓은 글을 첨부하겠습니다.

 

1. Canal_3

저는 브금으로 사용할 때는

너무 느리거나 빠르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이정도 템포의 신나는 느낌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이 음악은 여유있고 신나는 느낌이라 생각합니다.

 

2. Cubic_Z

이 음악은 좀 더 빠른 템포면서

레트로한 느낌입니다.

활기찬 느낌이라서 오프닝으로 사용하기도 좋고

빠른 템포의 영상이라면 이걸 추천드립니다.

 

3.Gisele_Revisited

이건 힐링 이미지가 강합니다.

힐링물이나 감동적인 영상 제작할 때 추천드립니다.

늦은 밤 IRL이나 조용한 느낌 토크쇼

브금사용할 때 추천드려요.

 

4.Great_Hope

비트를 쪼개는 정도는 아니지만

나름 빠른 템포라서

글이 많은 영상이나 토크쇼는

어울리지 않습니다.

하지만 노래 자체가 레트로해서

귀여운 픽셀 인디게임에 브금이 없다면?

추천드립니다.

 

5.Happy_Haunts

영화 OST 였던거 같기도 하고

극적인 효과로 쪼개쓰기도 좋습니다.

너무 어둡지만은 않은 브금입니다.

장난꾸러기들이 음모를 꾸밀 때 나오는 브금인 듯 하네요

6.Josefina

제목도 제목이라서

귀여운 여자아이가 어울리는 느낌입니다.

오프닝에도 좋고

귀여운 3D 모험게임도 적용하기 좋습니다.

 

7.Lovable_Clown_Sit_Com

전체적인 반복느낌이라서

무한정 돌릴 때 좋을 듯합니다.

물론 브금을 하나만 쓰시지는 않겠지만

통일성이나 컨셉을 유지하려는데

비교적 긴 영상이라면 추천드립니다.

 

8.Prizefighter

영상으로 쓰기에는 많이 빠른감이 있어요

하지만 활기찬 분위기에 영상이라던지

신나는 컨셉에 오프닝 영상이라면

좋아요 드립니다.

 

9.Wild_Pogo

이건 제 취향이 좀더 섞여있습니다.

전에 다른 스트리머님 영상을 보다가

픽셀그래픽에 경찰게임이 이런 스타일에

브금이 계속 나오는 게임이었습니다.

해서 느낌도 경찰드라마 느낌이라고 메모해두었죠.

 

10.Workout

아마 보통 글과 이미지 만으로 영상을

만드는 크리에이터분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스타일이 아닌가 싶습니다.

듣기 편하고 템포도 적절해서 애니메이션 넣기

편한 브금이 아닌가 싶습니다.

마음에 드시는 것이 있다면

아래에 파일들을 우클릭하시고 다운 받으시면 됩니다.

1.Canal

2.Cubic_Z

3.Gisele_Revisited

4.Great_Hope

5.Happy_Haunts

6.Josefina

7.Lovable_Clown_Sit_Com

8.Prizefighter

9.Wild_Pogo

10.Workout

달리 추천하시는 저작권 없는 브금이 있다면

댓글로 공유 부탁드립니다.

유튜브 라이브러리를 보신다면 아마

이 많은걸 언제 다 듣나 싶을 때가 많습니다.

아마 다른 분들도 이 생각이 종종 있을텐데

서로서로 공유 한다면 좋을 것 같네요

 

언제나 1인 미디어를 응원하는

필이 였습니다.

감사합니다.

 

2017/10/27 - [스트리밍관련] - 상업적 이용가능한 브금(BGM), 음악을 제공하는 사이트 모음

 

2017/10/25 - [스트리밍관련] - 영상 제작시 반드시 확인해야하는 저작권에 대해서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필이입니다.

오늘은 스트리밍이나 영상 제작시

발생하는 문제 소음에 관해서

이야기 해볼까 합니다.

아마 스트리밍이나 녹음을 한 번이라도

해보신 분들이라면 반드시 체크해야할 사항입니다.

소음 문제라고 보통 일컫어 지는 문제가

스트리밍 하거나 녹음을 할 때

자신이 내는 목소리나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으로 인해 이웃이나 가족에게

피해가 가는 상황만을 놓고 보시는 경우가 있는데요.

물론 이러한 경우가 대다수 일수 도 있지만

주변 소음이 자신이 모르는 사이에

고스란히 녹음이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어

파일 자체를 그냥 날려야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소음에 원인을 찾아서 차단해야

문제가 해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그게 이웃이라면 해결가능성은 개인차 이겠죠?

어쨌든 외부요인, 내부요인으로 인해

본인 또는 타인이

피해가 가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한번 씩 생각하게 되는 것이 바로

방음 부스입니다.

하지만 방음부스를 알아보려고 해도

기본적으로 공사를 진행할 정도의

경제력이 있으시다면

업체 몇개 방문하셔서

직접 체험해보고 결정하신다면

큰 문제는 없으실겁니다.

요즘엔 소재가 다양해서 시공을 맡기면 확실히 배선부터 인테리어까지 만족시켜줘서 돈도 없으면서 자꾸 찾아보게 만듭니다. ㅠㅜ

하지만 그 정도의 경제력이 없다면

셀프로 방음부스를 만들어 볼 수 없을까? 라는

고민을 하시게 될겁니다.

저도 그런 사람 중에 한명이었습니다.

의외로 인터넷 검색해도

잘 나오지 않아서 난감했습니다.

그렇게 잘모르는 지식으로 조금조금 알아보다가

유야무야 넘어가 버리는 바람에 없는 일이 되어버렸지만

혹시나 방음부스를 생각해보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저도 완벽한 전문가는 아니고 알아보면서

방음이 계란판이 다가 아니구나 정도의 지식이라서

틀릴 수도있으니 참고만 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이동식 방음부스

 

보통 가장 작은 사이즈가 1.3mx1.3m. 한 평 보다 작은 방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녹음을 하는 방 전체를 다 할수 없다면?

녹음이나 스트리밍을 할 수 있는 공간이라도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하는 방법입니다.

방음부스를 만드려고 시공하는 것보다는

비교적 저렴하게 방음부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게다가 이사를 가거나 방음부스가 필요없게 되는 경우

분리해체 재사용이 가능한 점도 큰 이점입니다.

기본적인 사이즈라면 200만원 내외에서

나만의 방음 부스를 가질수 있습니다.

하지만 공간이 커지면 커질수록 비용이 더 비싸지기 때문에

사이즈에 따라서 방음시공이 더 싸게 들어가는 경우도

생긴다고 하니 크기가 큰 경우에는

시공을 먼저 알아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방음부스 DIY

( 방음재 - 흡음재 & 차음재 )

 

이동식 방음부스도 가격이 부담스럽다면

역시 셀프가 답입니다. 물론 같은 면적이라면 입니다.

면적이 크면 아무리 셀프라도 비쌀 수 밖에 없습니다.

보통 셀프로 방음부스를 해보려고 하면

가장 먼저 검색하는게 계란판 입니다.

정확하게 말씀드리자면 계란판 같이 생긴 흡음재입니다.

방음재는 사실 우리가 많이아는

흡음재 그리고 차음재라는 두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물론 보통 시공을 하게 되면 가격이나 환경에 따라 다르지만

이 두개를 모두 사용해서 방음 부스가 만들어집니다.

진짜 계란판을 사용하시는 분들도 있는데 그다지 효과가 있는 편은 아니라고 합니다. 하울링이 좀 덜해진다고는 합니다.

우리가 잘 아는 흡음재는

소리에너지에 의해 공기가 진동하는 걸 흡수해서

소리가 밖으로 퍼지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주요 기능입니다.

계란판은 그런 기능을 이용해 벽을 울퉁불퉁하게 면적을 늘려

진동이 여기저기로 흡수되게끔 하는 기능입니다.

예를들어 가구가 아무것도 없는 빈집은

목소리가 울리는 반면

가구 등이 배치된 일반 집에서

소리가 울리지 않는 것처럼 말입니다.

요즘에는 울퉁불퉁한 소재뿐만이 아니라

우리눈에는 그냥 평평한 소재인데 눈에 보이지 않게 많은 구멍이 

공기의 진동을 흡수하는 소재도 있어 다양하게 고를 수 있습니다.

흡음재 같은 경우에는 밀도가 높을수록

기능이 좋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제 우리에게 조금 생소한 차음재에대해서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차음재는 사실 건축자재에 반드시 사용이 됩니다.

두께에 차이는 있지만 말이죠.

차음재는 소리 에너지를

아예 차단해버리거나 반사시켜서 버립니다.

그렇기 때문에 차음재로만 시공해버리면

밖으로 들어오거나 나가는 소음은 없지만

진동이 안에서 돈다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차음재는 공사현장에서 사용되는 건축 자재이기때문에 딱히 디자인을 고려한 제품 등이 없습니다.

그래서 외부 소음이 많은 방향 쪽에 차음재를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방음이 어느 정도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리고 차음재는 진동이 다른 쪽으로 잘 전달이 되도록

벽면에 잘 붙여야 됩니다.

 

 

그러지 않으면 그 효과가 미미하다고 합니다.

차음재 자체가 단단하기 때문에

두께에 의해 효과의 정도가 결정됩니다.

벽에 붙이는 순서 상으로 차음재가 먼저 그 다음이 흡음재 순입니다.

보통 셀프로 하는 경우 흡음재만을

설치하려고 하지만

흡음재와 차음재를 같이 사용하면

효과는 하나만 사용하는 것보다 훨씬 더 좋습니다.

소음이 얼마나 큰 가에 따라서

미리 예산을 잡을 때

차음재를 한 번 고려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차음재 같은 경우 흡음재 위에 설치하면

서로의 기능을 오히려 방해할 수도 있으니까 말이죠.

 

자 오늘은 방음부스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수박 겉핡기 수준이지만

나름 이게 어떤 소재이고

어떻게 쓰이는지 정도만 알아도

방음부스를 직접 만드는걸 고민하시는

참고로 쓰기에는 큰 무리 없으실 겁니다.

감사합니다.

필이였습니다.

안녕하세요

필이입니다.

유튜브을 비롯해서 스트리밍 할 때나

업로드 영상을 만들다 보면

영상 배경음악이 필요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문제가 생깁니다.

저작권 때문에 아무 음악이나 사용 할 수 없습니다.

저작권을 무시한 채 음악을 사용 했다간,

바로 저작권 침해 신고가 들어오게 됩니다.

유튜브에서 수익 창출을 안하시더라도 유튜브에 경우는

라이선스에 따라 다르지만

국가별로 차단이 들어가는 경우도 있고

아예 영상 자체가 차단이 되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수익창출을 하시는 분들의 경우 저작권 침해 신고가 쌓여도 아무런 조치가 없으면

수익창출이 거부되거나 계정이 해지되는 경우도 있으니

꼭 저작권을 확인하시면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저작권 없는( CC0 등 ) 음악 이란 상업적인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광고수익을 위한 유튜브나 기타 상업적 목적의 영상, 오디오 작업에서 말입니다.

우리가 이 영상을 통해 수익이 조금이라도 있었다면 상업적 이용에 해당됩니다.

만약에 조회수가 없어서 수익이 없더라도

 

 

목적에 광고 수익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 또한 저작권 위반입니다.

그 외 특정한 조건이 달려있는데 얼마 전에 올려드렸던 CC라이선스를

확인하시면 도움이 되실 겁니다.

 

반드시 확인해야하는 저작권에 대해서 알아보기

 

1.  유튜브 오디오 라이브러리
 
유튜브에서 유튜버들을 위해 제공하는 오디오 라이브러리입니다.

저작권 없는 배경음악을 구할 수 있습니다.

유튜버가 아니라서 모르고 계셨을 분들을 위해 넣습니다.

간단하게 쓸 수 있는 무료브금을 찾는 많은 유튜버들이 애용하고 있습니다.

2.  Free Music Archive 

Free Music Archive는 약 12만개의 저작권 무료 음악을 제공합니다.

그리고 그 중 약 1만여개는 상업적으로도 사용 가능합니다.

왼쪽 메뉴에서 ‘Allows for commercial use’를 체크 하고 검색하면 됩니다.

퍼블릭 도메인은 그냥 갖다 쓰면 됩니다.

 

 

CC 라이선스는 경우에 따라 크레딧에 저작자를 표기 해야 합니다.

이 사이트는 검색기능이 굉장히 잘 되어있습니다.

또한, 로그인 없이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저작권 없는 배경음악을 구할 수 있는 최고의 사이트입니다.

 

 

3.  ccMixter 

약 2만여개의 저작권 무료 음악을 제공하는 사이트입니다.

 그리고 이 중 4000개 정도의 음악은 상업적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CC 라이선스입니다.

음악을 사용할 때 저작자를 표기 하면 됩니다.

사이트 위쪽의 ‘featured’ 메뉴에서 ‘free for commercial use’를 클릭하면,

상업용 무료 음악만 나열됩니다.

 

4.  freeSFX

보통 효과음을 제공하는 사이트인데 함께

무료 배경음악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사이트 위쪽의 메뉴에서 ‘music’ 탭을 클릭하고 찾으면 됩니다.

배경음악을 사용할 땐 크레딧에

이 사이트의 주소를 출처로 표기해야 합니다.

 

5.  Bensound

Benjamin TISSOT 라는 뮤지션이 자신의 작품들을

CC 라이선스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상업적으로 사용가능합니다.

작품들의 퀄리티가 굉장히 좋습니다.

하지만 사용 하시려면

크레딧에 사이트의 주소를 출처로 표기해야 합니다.

 

5곳의 저작권 없는 음악을 구할 수 있는 사이트를 정리했습니다.

위에 소개하는 사이트에서 구할 수 있는 음악은

모두 상업적으로 사용 가능한 완전한 로열티 프리 음악입니다.

사이트의 라이선스에 관한 사항을 정리하고 적어 두었습니다.

간단한 무료브금을 찾으시는 스트리머,

영리적 목적의 프로젝트에 쓰실 편집자,

안전한 저작권 무료 음악을 찾으시는 제작자 분들께

도움이 될 수 있었으면 합니다.

필이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필이 입니다.

오늘은 크리에이터분들이 꼭 알아야하는

저작권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저작권은 보호되어야 합니다만

 

어떤 때는 남의 글을 퍼오거나 이미지를

무료로 사용해도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무료 사용권의 표준을 정하기 위한 것이 저작권 CCL이고

영상을 제작하시는 분들은 CCL기호의종류나 의미를 알아두면 여러모로 좋습니다.

그래서 블로그 등에 무료 이미지나 글을 사용할 수 있는 오픈 라이선스를 정리해 봅시다.

저작권 CCL기호가 저작권을 포기하는 표시가 아닙니다.

저작권 부담 없이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맞지만,

어떤 경우든 원래 저작자의 저작권은 살아 있습니다.

무슨 말이냐면 저작권 CCL기호가 오픈 라이선스라서 마음대로 퍼왔다고 할지라도,

자신의 이름을 표시하여 마치 자신의 작품인 것처럼 해서는 안 된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당연히 저작권 침해가 되어 소송을 당할 수가 있습니다.

저작권 CCL기호는 사용권 만을 허락하는 것일 뿐,

저작권까지 가져가라는 것이 아님을 명심해야 합니다.

물론 완전 기증에 해당하는 'CC0'도 있지만,

타인의 컨텐츠를 가져갈 때마다 매번 저작권 CCL의 종류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저작권 CCL기호의 종류를 잘 보면 글과 이미지, 동영상을 퍼갈 때

어느 정도까지 활용할 수 있는지를 알 수가 있습니다.

 

 

반대로 저작권자는 자신의 컨텐츠를 공유할 때 원하는 범위를 정할 수 있는 장점이 생깁니다.

저작권 CCL기호의 종류와 의미를 잘 이해하고 활용하면

타인의 글을 "인용"하여 더 새로운 창조를 해낼 수도 있고,

무료 이미지로 더 풍요로운 웹환경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CCL은 원 저작자가 퍼가기만을 허용하는지,

원 저작자가 누군지 밝히기를 원하는지,

마음대로 수정해도 되는지까지 알 수가 있습니다.

또한 상업적으로 이미지를 이용해도 되는지,

퍼온 자료를 다시 공유해도 되는지도 알 수 있으니,

저작권법 위반의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입니다.

반대로, 저작품을 만들어내는 입장에서도 저작권 CCL기호는 유용한 것입니다.

정보의 공유를 허용하면서도 저작권을 지킬 수 있는 합리적인 방법인 것입니다.

그런 점에서 저작권 CCL기호는 매우 유용하고도 필요한 규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저작권 CCL기호의 종류는 기본적으로 4가지가 있습니다.

그리고, 이 4가지를 조합해서 여러 가지를 만들 수도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이 4가지가 하나도 없는 조건까지 합하면

보통 7가지의 저작권 CCL기호 의미를 만들 수 있습니다.

저작권은 원 저작자가 가진 상태에서 무료로 사용할 수 있게 권리를 확인해주는

저작권 CCL은 저작자 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동일조건 변경허락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저작자 표시 : 쉽게 말해서 원 저작권자의 이름이나 출처를 표시하라는 뜻입니다.

글, 이미지, 동영상 등을 가져다가 사용할 수는 있지만,

어디서 가져왔는지는 반드시 밝히라는 CCL 의미인 것입니다.

이 표시가 있다면 반드시 저작권자를 표시해야 하고,

없다면 그냥 사용해도 된다는 CCL 종류입니다. 영문표시는 "CC BY"입니다.


비영리 : 컨텐츠를  가져갈 수는 있지만 돈을 버는 데 사용할 수는 없다는 것입니다.

개인이든 기업이든 상관없이 무료로 저작권 걱정 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판매를 할 수는 없다는 CCL 의미입니다

 이 표시가 있다면 개인 블로그 등에 사용이 가능하더라도

상업적인 글, 이미지, 동영상을 만드는 데는 사용할 수 없는 CCL 종류입니다.

영문표시는 "CC NC"입니다.


변경금지 : 가져가서 그대로 인용하거나 첨부할 수는 있어도 편집을 한다든지 수정을 해서는 안 된다는 것입니다.

있는 그 자체 그대로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2차 컨텐츠를 만드는 데에도 사용할 수 없다는 CCL 의미인 것입니다.

이 표시가 없다면 합성하거나 다른 창작물을 만드는데 사용할 수 있는 CCL 종류입니다.

영문표시는 "CC ND"입니다.

 

동일조건변경허락 : 위의 변경금지와 달리 2차 저작물을 만드는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당연히 변경과 편집도 가능합니다.

하지만 새로 만든 컨텐츠를 배포할 때는

반드시 가져가서 사용한 저작물과 같은 조건으로 해야 한다는 CCL 의미입니다.

그래서 위의 다른 CCL기호들과 함께 사용합니다.

예를 들자면, 공짜로 이미지를 빌려다가 만들었으니

다른 사람에게도 공짜로 사용할 수 있게 허락을 해야 한다는 CCL 종류인 것입니다.

영문표시는 "CC SA"입니다.


CC zero : '퍼블릭 도메인'이라고도 부르는데

원래 'CC Public Domain'이라고 하던 것을 "CC0"이라고 바꾼 저작권 CCL 종류입니다.

이것은 컨텐츠의 "기증" 또는 "기부"를 뜻하며 저작권마저도 완전히 포기하는 CCL 의미입니다.

이 표시가 있다면 상업적인 이용 뿐 아니라 어떤 제한도 없이 사용을 할 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

 


대체로, 저작권 CCL의 종류는 길이가 길어질수록

더 강력한 조건을 가지게 된다고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만약 이런 CCL표시가 하나도 없다면?

저작권 CCL기호가 없는 홈페이지나 블로그에서는

아예 아무 것도 가져다 사용할 수가 없습니다.

그 자체가 저작권 위반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저작권 CCL 종류가 표시되어 있다면 오히려 이용이 자유로운 것입니다.

 

 

저작권 CCL기호는 기본적으로 4가지가 있으며

영문으로 "CC BY", "CC NC", "CC ND", "CC SA"으로 표기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은 CCL 기호를 그림 그대로 삽입하며,

영문으로 표기할지라도 이미지형태로 표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들 CCL 종류인 BY, NC, ND, SA는 하나씩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섞어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두 가지 이상이 표시되면 그 하나하나를 모두 지켜서

저작권을 적용하게 되므로 꼼꼼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동영상 CCL 표시 예시 영상이 시작되는 부분이란 맨마지막 부분에 CCL에 대한 내용을 삽입해 주면 됩니다. 이미지 출처 www.cckorea.org

오늘은 크리에이터, 영상 편집자 분들을 위해서

저작권 표시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저작권은 저작자의 권리를 지키는 동시에

나의 저작물이 어떤 식으로 공유되었으면 하는지

밝히는 표시입니다.

저작권을 잘 이용해서 안전하고

퀄리티 있는 영상이 많이 나오길

응원합니다.

필이였습니다.